ok시골5 호미 들고 과로사? 쉬엄쉬엄해도 돼! [농민신문에 '김경래의 마을.땅.집'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2025년 5월 7일자 내용입니다.] 호미를 들고 마당에 있는 시간이 길어졌다. 봄이 되니 꽃나무에 손이 많이 가고 텃밭도 챙겨야 하기 때문이다. 더 신경 쓰이는 것은 잡초다. 꽃이나 채소보다 잡초가 더 많이 빨리 자란다. 호미 들고 그들과 씨름하는 시간이 번거롭고 귀찮지만, 자연을 선택해 사는 이에게는 피할 수 없는 일상이다. 돈이 많다면 머슴을 두면 되는데 그런 형편이 못되니 결국 내가 해야 할 몫이다. 그게 시골에서 마당을 가꾸고 텃밭을 일구는 전원생활의 즐거움이기도 하다. 도시 아파트의 안락한 소파에 누워 TV 채널을 돌리는 이들에게, 흙투성이 손으로 풀을 뽑는 것은 ‘개고생’으로 비칠 수도 있다. 하지만 마당일을, 풀뽑기를 하며 마약같이.. 2025. 5. 7. 집보다 창고가 좋아야 하는 이유는? 도시서 터전을 시골로 옮겨 전원생활을 계획하는 사람들은 걱정거리가 참 많다. 시골서 살고 싶어도 선뜻 용기를 내지 못하는 이유다. 이런 저런 걱정거리 중 대표적인 것이 집이다. 집을 어떻게 마련할지, 짓는다면 어떻게 지어야 하는지, 어떤 구조의 얼마 크기가 적당한 지, 돈은 얼마나 들여야 하나 등등 생각이 많아지고 고민은 커진다. 답을 찾아 인터넷을 뒤지면 정보가 넘쳐난다. 주택업체들을 방문해 상담도 받아본다. 이 얘기 저 얘기 듣고 나면 더 헷갈린다. 뭐가 옳은 말인지,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 지에 대한 판단이 잘 서지 않는다. 좋은 얘기들만 잔뜩 듣고 잘 지은 집들을 수도 없이 보았어도 그게 나에게 맞는 집인지 판단하기는 어렵다. 이렇게 헷갈린다면 ‘시골집은 관리가 쉽고 생활이 편해야 한다’는 기준으.. 2025. 4. 28. 시골집 임대 해 '연습용'으로 살면 손해 꼭 이사는 아니라도 시골서 살아보고 싶다면 가장 쉬운 방법이 있다. 부모형제가 사는 집을 이용하는 것이다. 물려받을 집이 있다면 손쉽게 내 집을 만들 수도 있다. 이렇게 시골살이를 시작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대부분 그런 행운은 없다. 자신의 노력과 돈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런 사람들에게 맞는 가장 현실적이고 쉬운 방법은 임대해서 살아보기다. 임대해 살면 머리도 덜 아프고 리스크도 줄일 수 있다. 집을 직접 지을 필요도 없고, 법적 절차도 비교적 간단하며, 문제가 생겨도 부담이 덜하다. 물론 비용도 적게 든다. 전세든 월세든 계약하고 이사해 살면 된다. 집 상태를 확인하고, 원하는 조건만 맞으면 시작할 수 있다. 시골서 임대집 찾기 생각보다 어렵고 비싸 하지만 임대에도 주의할 점은 많다. 무조건 쉬운 .. 2025. 4. 25. 전원생활 잘 하려면 '2C'를 챙겨라 유명 관광지에는 자신의 집을 한 달 살기, 일 년 살기로 임대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한 달 살기 혹은 일년 살기로 오는 사람들 중에는 그 시간을 제대로 채우고 가지 못하는 사람들도 많다 한다. 할 일 없으면 한달살기 일년살기도 무료 한 달이나 일 년을 재미나게 살아보겠다며 오지만 실제 그 시간을 알차게 채우지 못 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이야기다. 올 때는 주변 여행을 하며 좋은 음식점과 카페를 찾아 맛난 음식도 먹고 커피를 마시며 재미난 시간을 보낼 계획이었지만 곧 따분함을 느낀다. 이유는 스스로 재미있게 할 일이 없기 때문이다. 며칠 전 퇴직자들을 대상으로 한 귀촌 프로그램에 강의 부탁을 받아 갔다. 중간 쉬는 시간에 퇴직이 일 년 남은 공무원이란 이가 말을 걸어 온다. 귀.. 2025. 4. 23. 마음 편한 곳이 진짜 명당! 좋은 땅을 찾아 집을 짓고, 그곳에서 평생을 살고 싶다는 생각. 누구나 한 번쯤은 해본다. 명당에 대한 꿈이다. 전문적으로 가면 좌청룡 우백호를 따지고 지맥이나 혈자리를 봐야 한다. 제대로 이해하려면 어렵다. 배산임수, 북고남저… 명당의 조건? 명당을 이야기할 때 누구나 알고 있는 상식이 있다. ‘배산임수’다. 산을 등지고 있으며 앞에 물이 있는 곳을 이른다. 북쪽에 앉아서 남쪽을 바라본다는 ‘북좌남향’, 북쪽은 높고 남쪽은 낮다는 ‘북고남저’도 명당의 조건이다. ‘전저후고’라 하여 앞은 낮고 뒤는 높은 터도 좋다. 이런 말들을 정리하면 명당은 ‘해 잘 들고 배수 잘 되는 터’로 결론이 난다. 해가 잘 들면 따뜻하고 편안하게 살 수 있다. 햇볕은 인간뿐만 아니라 동식물들에게 꼭 필요하다. 해가 들지 .. 2025. 4. 23. 이전 1 다음